😩 이격률을 안 보면 이런 실수를 합니다
주식하다 보면 이런 경험 한 번쯤 해보셨을 거예요.
- RSI (Relative Strength Index)도 괜찮고, MACD (Moving Average Convergence Divergence)도 좋아 보여서 샀는데… 다음 날 하락
- 눌림목 같아서 진입했는데 알고 보니 이미 많이 오른 후
- 반대로 너무 떨어져 보여서 들어갔는데 계속 더 빠지는 중
→ 이런 실수의 대부분은 “주가가 지금 위치적으로 어느 정도 올라왔는지 or 떨어졌는지”를 정확히 확인하지 않았기 때문이에요.
❓이동평균선과 왜 이걸 봐야 할까요?
![]() 이동평균선 |
![]() 이격률(DI) |
RSI (Relative Strength Index),MACD (Moving Average Convergence Divergence)는 다 좋은데
실제로 "지금 이 주가가 많이 떨어진 건지, 많이 오른 건지"
위치를 모르면 타이밍을 계속 놓칩니다.
예를 들어볼게요
- 🔻 삼성전자가 며칠간 떨어져서 싸보여서 매수
→ 그런데 이격률 –3%라서 아직 덜 빠진 상태였음
→ 결국 다음 날 더 하락 - 🔺 TQQQ가 급등 중이라 따라 들어갔는데
→ 이격률 +11%, 이미 단기 과열
→ 눌림 없이 바로 음봉 전환
💡 그래서 필요한 게 바로 이격률
이격률은 주가가 과열되었는지, 저평가되었는지를 수치로 판단할 수 있는 보조지표입니다.
지금이 매수하기 싼 구간인지, 익절을 고려해야 할 구간인지를 객관적으로 보여주는 지표죠.
🔍 이격률은 어떤 원리로 작동하나요?
이격률은 아주 단순한 원리를 가지고 있어요.
주가는 평균선에서 너무 벗어나면 다시 평균선으로 돌아가려는 성질이 있다.
즉, 평균에서 멀어졌을수록 다시 되돌림이 나올 가능성이 커지고,
그 “멀어진 정도”를 퍼센트로 수치화한 지표가 바로 이격률입니다.
🛠️ 이격률은 보통 어떤 기준으로 보나요?
✅ 가장 많이 보는 건 5일 이동평균선 기준 이격률(DI 5)입니다.
왜 5일선이냐면:
- 단기 트레이딩, 눌림목 진입, 추세 초입 판단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
- TQQQ, NVDL처럼 단타 매매 종목 분석에 특히 효과적
그 외
5일 | 단타, 단기 트레이더 (TQQQ, NVDL 등) |
20일 | 스윙 투자자 (삼성전자, 애플 등) |
60~120일 | 장기 보유자, 추세 전환 분석용 |
👀 이격률, 특히 이런 사람은 꼭 봐야 해요
단타 매매자 | 타점 정확도 향상 |
고점 추격 자주 하는 사람 | 과열 구간 걸러내기 |
눌림목 매매자 | 눌림 vs 고점 구분 가능 |
감 매매 습관 있는 사람 | 타점 판단을 ‘수치화’ 가능 |
✅ 보통 이격률 수치 기준은 어떻게 해석하나요?
+10% 이상 | 과열 | 평균보다 너무 비쌈 | 익절 / 관망 |
+5% ~ +9% | 고점권 | 상승세 지속 구간 | 보유 or 경계 |
–4% ~ +4% | 정상 범위 | 평균선 근처 | 보유 / 흐름 체크 |
–5% ~ –9% | 과매도 | 평균보다 꽤 떨어짐 | 매수 탐색 |
–10% 이하 | 과매도 심화 | 급락 후 바닥 구간 | 반등 진입 시도 |
📊 예시로 보면 더 쉽습니다
✅ 예시 1 – TQQQ
최근 TQQQ가 며칠 새 급등했어요.
MACD도 좋고, 거래량도 터졌길래 따라 샀는데, 다음 날 음봉.
왜?
→ 이격률 +11% 상태였음.
→ 이미 단기 과열 구간. 이럴 땐 진입보다 익절 or 눌림 대기가 맞음.
✅ 예시 2 – 삼성전자
삼성전자가 며칠간 빠져서 싸 보이길래 샀는데, 또 떨어졌어요.
→ 이격률 –6% 상태.
→ 이럴 때는 “바닥 근처”일 수 있지만,
→ 이격률만으로 진입은 위험, 거래량 반등이나 캔들 신호까지 확인 필요.
✅ 예시 3 – 애플(AAPL)
애플 주가가 상승 중인데, 눌림목 같아서 들어가고 싶어요.
그런데 이격률이 이미 +8%?
→ 눌림목이 아니라, 아직 고점권일 가능성
→ 이럴 땐 추격보다, 5일선 근처로 내려올 때 진입 대기 전략
✅ 예시 4 – NVDL
NVDL이 급락하고 반등 시도 중인데, 이격률이 –4.8%에 거래량 증가까지?
→ “세력 매집 구간일 수도 있겠다”는 시그널
→ 캔들 반등 확정 시 진입 고려 가능
✅ 결론 정리
- 이격률은 **“지금이 싼지 비싼지”**를 수치로 판단하는 핵심 지표
- 보통 5일선 기준으로 보고,
- +10% 이상이면 과열, –5% 이하이면 과매도 경계
- 특히 단타·추매 실수 줄이고 싶은 사람이라면 반드시 확인 필요